카테고리 없음

국민의힘 전당대회 일정 주요 후보와 합동연설회 일정 확인하기

mewmew 2025. 9. 26. 21:23

국민의힘 전당대회 일정이 드디어 공개되었습니다. 이 전당대회는 2024년 7월 23일에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에서 개최될 예정입니다. 이번 전당대회는 당 대표 및 최고위원을 선출하는 중요한 자리로, 향후 정치적 방향성을 결정짓는 중요한 순간이 될 것입니다. 이번 포스팅에서는 국민의힘 전당대회 일정과 관련된 주요 사항들을 상세히 정리해 드리겠습니다.

 

 

전당대회 기본 정보

국민의힘 전당대회는 2024년 7월 23일 화요일에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킨텍스 제1전시장 제1홀에서 진행됩니다. 이 전당대회의 주요 목적은 제3대 당 대표와 새로운 지도부를 선출하는 것입니다. 선출된 당대표는 2026년 6월까지 임기를 수행하며, 제9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진두지휘하게 됩니다.

 

 

후보자와 주요 일정

이번 전당대회에는 총 네 명의 당대표 후보가 출마했습니다:

  • 한동훈: 전 법무부 장관으로, 학력은 서울대 법학과와 콜롬비아대 로스쿨을 졸업했습니다. 최종 득표율은 62.64%였습니다.
  • 원희룡: 전 국토부 장관으로, 서울대 법학과를 졸업했습니다. 최종 득표율은 18.85%입니다.
  • 나경원: 5선 국회의원 및 전 자유한국당 원내대표로, 서울대 법대 학사와 동대학 석사 및 박사를 보유하고 있습니다. 최종 득표율은 14.85%입니다.
  • 윤상현: 전 대통령 정무특보로, 서울대 경제학과와 조지타운대 외교학 석사 및 정치학 박사를 취득했습니다. 최종 득표율은 3.73%입니다.

 

 

최고위원 후보

최고위원 선출을 위한 후보는 다음과 같습니다:

  • 장동혁: 서울대 불어교육학과 졸업, 최종 득표율 20.61%
  • 김재원: 서울대 법대 졸업, 최종 득표율 18.7%
  • 인요한: 연세대 의예과 및 고려대 의학 석사와 박사 졸업, 최종 득표율 17.46%
  • 김민전: 서울대 외교학과, 정치학 석사, 아이오와대 정치학 박사 졸업, 최종 득표율 15.09%

 

청년최고위원

  • 진종오: 경남대 경영학과 및 체육학 석사와 박사 졸업, 최종 득표율 48.34%

지역별 합동연설회 일정

전당대회 후보자들은 다양한 지역에서 합동연설회를 진행할 예정입니다:

  • 광주, 전북, 전남, 제주: 7월 8일 월요일 오후 2시, 광주 김대중 컨벤션센터
  • 부산, 울산, 경남: 7월 10일 수요일 오후 2시, 부산 벡스코 오디토리움
  • 대구, 경북: 7월 12일 금요일 오후 2시, 대구 엑스코
  • 대전, 세종, 충북, 충남: 7월 15일 월요일 오후 2시, 충남 천안 유관순 체육관
  • 서울, 인천, 경기, 강원: 7월 17일 수요일 오후 2시, 경기 고양체육관 고양소노아레나

 

 

TV 방송토론 일정

후보자들의 정책과 비전을 살펴볼 수 있는 TV 방송토론 일정도 공개되었습니다:

  • TV조선: 7월 9일 화요일 오후 5시
  • MBN: 7월 11일 목요일 오후 5시
  • 채널A: 7월 16일 화요일 오후 9시 30분
  • CBS라디오: 7월 17일 수요일 오전 7시 10분
  • KBS: 7월 18일 목요일 오후 10시 50분
  • SBS: 7월 19일 금요일 오후 2시

 

여론 조사 및 투표 일정

전당대회 관련 여론 조사와 투표 일정도 아래와 같습니다:

  • 선거인단 모바일 투표: 7월 19일 금요일 ~ 7월 20일 토요일
  • 선거인단 ARS 투표: 7월 21일 일요일 ~ 7월 22일 월요일
  • 일반 국민 여론조사: 7월 21일 일요일 ~ 7월 22일 월요일

 

 

  1. 투표 문자 받기
  2. 보안 문자 입력하기
  3. 본인 인증 번호 (주민번호 앞자리) 입력하기
  4. 투표하기 선택하기
  5. 후보자를 선택한 후 '다음 투표' 클릭하기
  6. 선택한 후보를 재확인 후 '선택 완료' 클릭하기
  7. '투표 완료' 클릭하기

 

국민의힘 전당대회는 중요한 정치적 전환점을 맞이하게 될 행사입니다. 2024년 7월 23일에 진행될 이번 전당대회는 새로운 지도부를 선출하고, 당의 미래를 결정짓는 중요한 기회가 될 것입니다. 후보자들의 정책과 비전을 잘 살펴보시고, 투표에 참여하여 민주적 선거 과정에 기여하시기 바랍니다.